한로(寒露)
한로(寒露)는 24절기의 17번째로 태양 황경이 19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24절기 중 추분과 상강 사이에 위치한다.
한로(寒露)는 양력으로 10월 8일 내지 9일경에 든다.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겹치기도 한다.
한로(寒露)의 의미는 말 그대로 ‘찬 이슬’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 더 읽고 싶어요
알아두면 쓸데있는 신기한 잡다구리쓰~
한로(寒露)는 24절기의 17번째로 태양 황경이 19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24절기 중 추분과 상강 사이에 위치한다.
한로(寒露)는 양력으로 10월 8일 내지 9일경에 든다.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겹치기도 한다.
한로(寒露)의 의미는 말 그대로 ‘찬 이슬’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 더 읽고 싶어요
백로(白露)는 24절기의 15번째로 태양 황경이 165도가 될 때이다. 24절기 중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다.
백로(白露)는 양력으로 9월 7일 내지 9월 8일경에 해당한다.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 더 읽고 싶어요
처서(處暑)는 24절기의 14번째로 태양 황경이 150도가 될 때이다. 24절기 중 입추와 백로 사이에 있다.
처서(處暑)는 양력으로 8월 23일 내지 8월 24일경이다, 음력으로는 7월에 해당한다. 여름이 지나 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고 하여 ‘처서’라 불렀다.
이 … 더 읽고 싶어요
입추(立秋)는 24절기의 13번째로 태양 황경(黃經)이 135도가 될 때이다. 천문학에서는 가을의 시점으로 삼는다.
입추(立秋)는 24절기 중 대서와 처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대개 8월 7일 내지 8월 8일에 든다.
입추는 이름 그대로 가을에 들어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 더 읽고 싶어요
대서(大暑)는 24절기의 12번째로 태양 황경이 120도가 될 때를 말한다.
대서(大暑)는 24절기 중 소서와 입추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대개 7월 22일 또는 7월 23일경 무렵이다.
대서는 이름 그대로 ‘몹시 심한 더위’라는 뜻으로 장마가 끝나고 땡볕 더위가 … 더 읽고 싶어요
예부터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그건 아마 우리 인간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천문 현상에는 눈, 비를 비롯해 별똥별, 오로라, 태양의 코로나와 플레어 현상 등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 더 읽고 싶어요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11번째 절기로, 태양 황경(黃經)이 105도가 되는 때이다.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대개 7월 6일이나 7일 무렵이다.
소서는 이름 그대로 ‘작은 더위’라고 불린다. 중국에서는 이 시기에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고 … 더 읽고 싶어요
예부터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그건 아마 우리 인간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천문 현상에는 눈, 비를 비롯해 별똥별, 오로라, 태양의 코로나와 플레어 현상 등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 더 읽고 싶어요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10번째 절기로, 태양 황경(黃經)이 90도가 되는 때이다.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 오월(午月)의 중기로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1~22일 무렵이다.
천문학적으로는 1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이다. 이 무렵 태양은 … 더 읽고 싶어요